각자의 데이터 생활 5

커리어리 습관챌린지 시즌2 한달 동안 매일 써 본 후기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커리어 SNS 플랫폼 커리어리 여러분 혹시 커리어리라는 플랫폼을 아시나요?커리어리는 일하는 사람들의 콘텐츠 구독 서비스인 퍼블리(publy.co/)에서지난해 2월 만들어낸 IT 현직자들의 인사이트 공유 놀이터 입니다.아마 퍼블리는 업무에 도움이 되는 콘텐츠들이 모여있기로 유명해서 들어 보신 분들이 많으시겠지만커리어리는 생소하신 분들이 더 많으실것 같습니다.저의 경우에는 친한 지인분이 커리어리에서 진행한 습관챌린지 시즌1에 참여하시고 평소 글쓰기를 좋아하는 저에게 추천해주셔서 접하게 되었습니다. 서비스 가입은 아마 지난 3월 중순 쯤이었던것 같고,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달 초 부터 였습니다.커리어리의 습관챌린지 시즌 2를 신청하고 나서 결과 발표가 늦게 나와서 개..

데이터 분석가의 고민노트 .01

1. 씨앗 통계 Seed Statistics 지난번 얘기했던 기본적인 인구통계 분석으로 아래 밑그림을 그렸다고 칩시다. - 전체 구매자 10,000명 중에서 3,000명 가량이 모델 A(준중형 SUV)를 골랐음 - 모델 A의 평균 구매 연령은 30대 후반임 - 남녀 성비는 1:1 정도임 이정도로 기초적인 분석이 되었다면 그 다음으로 필요한 작업은 "대상의 특징을 잘게 쪼개어보기" 입니다. 해당 차량의 특징과 함께 주요 고객 특성을 세세하게 살펴볼수록 좋습니다. 2_1. 판매상품 특성 쪼개어보기 Dissect Product "모델 A"라는 제품이 있다고 칩시다. 그러면 먼저 "모델 A"는 어떤 특징을 갖는지 먼저 쪼개어 볼까요? 1) 크기는 성인 두, 세명이 타기에 편안한 정도 2) 사이즈가 작고 하이브리..

CDN이란? Contents Delivery Network

최근 코로나로 인해서 우리 사회 곳곳에서 Digital transformation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러한 덕분에 회사에서 일하다 보면 문과생, 비전공자들도 IT 관련 업무를 접하게 되는 일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IT직군분들과의 회의를 다녀오고나면 정신이 혼미해지곤 하죠..!(제 얘깁니다 😂) 그래서 비개발자를 위한 한입 IT지식을 준비해 봤습니다. CDN(Contents Delivery Network)이란 지리적 그리고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더욱 빠르게 전달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웹사이트의 로당 속도를 개선하고 인터넷 회선 비용의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컨텐츠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웹사이트의 보안을 개선해준다.

[용어]핀테크, 테크핀? 빅테크! 무슨 차이 일까

핀테크, 테크핀? 빅테크! 무슨 차이 일까 언제 부턴가 우리 생활에서 익숙해진 용어들이 있다. 바로 핀테크 Financial + Technology의 합성어로 금융업을 기술로서 편리하게 해준다는 의미다. 핀테크를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국내 시장에서 예를 들어보겠다. 핀테크란 전통적으로 금융업을 해온 대형 은행, 카드, 증권사 등이 모바일,IoT 기술을 접목시켜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일컫는다. 이런 예로는 얼마전 마이데이터 사업자로 선정된 기업들 중 국민, 농협, 신한, 우리 은행 등 4개 은행과 국민, 우리, 신한, 현대, BC카드 등 5개 카드사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런데 어느샌가 부터 이 핀테크라는 용어가 변신을 하기 시작했다. 바로 테크핀이라는 단어가 나타난 것인데 테크핀은 Technol..

데이터 분석가의 고민노트 .00

0. 가이드는 없습니다. 당신은 고급 자동차 브랜드의 데이터 분석가로 채용되었습니다. 아직 회사에는 체계 잡힌 데이터 팀이 없고, 당신이 배치받은 부서는 경영전략부입니다. 어떤 것부터 시작해야 되나 고민하는 당신에게 팀장님이 시험 삼아 해보라고 과제를 하나 던져 주었습니다. "우리 자동차를 구입하는 사람들을 어떻게 분석하면 좋을까요?" ..예? ....가이드 같은건 안주시나요..? 는 저의 반응이었습니다. 아마 방금 여러분의 반응도 비슷했을겁니다. 결과적으로는 저는 한달 동안 머리 싸매가며 어떻게든 결과물을 만들었고 나름 성과를 인정받았습니다. 이 때 했던 자세한 분석은 다른 글에서 정리해보도록 하고, 오늘은 어떤 사고 프로세스를 통해 문제를 풀었는지 얘기하고 싶습니다. 1. 일단은 도메인 지식부터 쌓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