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

커리어리 습관챌린지 시즌2 한달 동안 매일 써 본 후기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커리어 SNS 플랫폼 커리어리 여러분 혹시 커리어리라는 플랫폼을 아시나요?커리어리는 일하는 사람들의 콘텐츠 구독 서비스인 퍼블리(publy.co/)에서지난해 2월 만들어낸 IT 현직자들의 인사이트 공유 놀이터 입니다.아마 퍼블리는 업무에 도움이 되는 콘텐츠들이 모여있기로 유명해서 들어 보신 분들이 많으시겠지만커리어리는 생소하신 분들이 더 많으실것 같습니다.저의 경우에는 친한 지인분이 커리어리에서 진행한 습관챌린지 시즌1에 참여하시고 평소 글쓰기를 좋아하는 저에게 추천해주셔서 접하게 되었습니다. 서비스 가입은 아마 지난 3월 중순 쯤이었던것 같고,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달 초 부터 였습니다.커리어리의 습관챌린지 시즌 2를 신청하고 나서 결과 발표가 늦게 나와서 개..

만우절은 마케터의 날! 오늘의 집 집냥이, 클래스101, 패스트캠퍼스의 인스타그램

미국에서 기업 마케터들이 1년중 그동안 갈고 닦은 자신들의 실력을 쏟아내는 때가 슈퍼볼 광고를 하는 날이라고 하면 우리나라는 바로 4/1일 만우절인거 같습니다. 언젠가 부터 만우절이면 경쟁사들끼리 공식 홈페이지에서 자신들의 로고를 맞교환(?)해서 CI를 업로드 하기도 하고 F&B 브랜드들은 기존에 있던 제품들을 섞어서 신제품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올해는 롯데의 메론먹은 죠스바가 그 예가 될 수 있을거 같습니다. 그래서 만우절이 되면 올해는 마케터들이 어떤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냈을까 하고 기대를 하게 되는것 같아요 어제 밤에 좀 일찍 잠들었다가 새벽 1시쯤에 깨서 인스타에 들어가보니 이런 게시물이 올라와 있었습니다. 인스타 감성 낭낭(?)한 피드 자랑하는 오늘의집 계정이 집냥이에게 점령이 당한다는 컨셉의 ..

트렌드를 읽자 2021.04.01

데이터 분석가의 고민노트 .01

1. 씨앗 통계 Seed Statistics 지난번 얘기했던 기본적인 인구통계 분석으로 아래 밑그림을 그렸다고 칩시다. - 전체 구매자 10,000명 중에서 3,000명 가량이 모델 A(준중형 SUV)를 골랐음 - 모델 A의 평균 구매 연령은 30대 후반임 - 남녀 성비는 1:1 정도임 이정도로 기초적인 분석이 되었다면 그 다음으로 필요한 작업은 "대상의 특징을 잘게 쪼개어보기" 입니다. 해당 차량의 특징과 함께 주요 고객 특성을 세세하게 살펴볼수록 좋습니다. 2_1. 판매상품 특성 쪼개어보기 Dissect Product "모델 A"라는 제품이 있다고 칩시다. 그러면 먼저 "모델 A"는 어떤 특징을 갖는지 먼저 쪼개어 볼까요? 1) 크기는 성인 두, 세명이 타기에 편안한 정도 2) 사이즈가 작고 하이브리..

현대백화점은 MZ 세대와 어떻게 커뮤니케이션 하고 있나? (1)

지난해 네이버에서 아주 흥미로운 포스팅을 접했다. 바로 ‘한 건물 안에 의식주(衣食住)에 관련된 여러가지 상품을 부문별로 진열하고 조직, 판매하는 근대적 대규모 소매상’이라고 정의되는 백화점이 음원을 발매했다는 것이다. https://youtu.be/XgNHw3jyCCc 국내 빅3 백화점으로 꼽히는 현대백화점에서 시도한 것이다. 백화점이 광고음악이 아닌 정식 음원을 내놓은 것은 처음이라고 한다. 음원의 제목은 당신이 있어야 할 곳을 의미하는 ‘Place to be’. 영상에는 롱보드 여신으로 불리는 인플루언서인 고효주가 출연하고, 백화점을 연상시킬 만한 장면은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노래의 가사에서도 현대백화점을 상징하는 내용은 현대백화점의 VIP 멤버십 명칭인 ‘쟈스민’이 포함된 것이 전부이다. 영상이..

트렌드를 읽자 2021.03.14

CDN이란? Contents Delivery Network

최근 코로나로 인해서 우리 사회 곳곳에서 Digital transformation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러한 덕분에 회사에서 일하다 보면 문과생, 비전공자들도 IT 관련 업무를 접하게 되는 일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IT직군분들과의 회의를 다녀오고나면 정신이 혼미해지곤 하죠..!(제 얘깁니다 😂) 그래서 비개발자를 위한 한입 IT지식을 준비해 봤습니다. CDN(Contents Delivery Network)이란 지리적 그리고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더욱 빠르게 전달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웹사이트의 로당 속도를 개선하고 인터넷 회선 비용의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컨텐츠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웹사이트의 보안을 개선해준다.

[용어]핀테크, 테크핀? 빅테크! 무슨 차이 일까

핀테크, 테크핀? 빅테크! 무슨 차이 일까 언제 부턴가 우리 생활에서 익숙해진 용어들이 있다. 바로 핀테크 Financial + Technology의 합성어로 금융업을 기술로서 편리하게 해준다는 의미다. 핀테크를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국내 시장에서 예를 들어보겠다. 핀테크란 전통적으로 금융업을 해온 대형 은행, 카드, 증권사 등이 모바일,IoT 기술을 접목시켜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일컫는다. 이런 예로는 얼마전 마이데이터 사업자로 선정된 기업들 중 국민, 농협, 신한, 우리 은행 등 4개 은행과 국민, 우리, 신한, 현대, BC카드 등 5개 카드사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런데 어느샌가 부터 이 핀테크라는 용어가 변신을 하기 시작했다. 바로 테크핀이라는 단어가 나타난 것인데 테크핀은 Technol..

데이터 분석가의 고민노트 .00

0. 가이드는 없습니다. 당신은 고급 자동차 브랜드의 데이터 분석가로 채용되었습니다. 아직 회사에는 체계 잡힌 데이터 팀이 없고, 당신이 배치받은 부서는 경영전략부입니다. 어떤 것부터 시작해야 되나 고민하는 당신에게 팀장님이 시험 삼아 해보라고 과제를 하나 던져 주었습니다. "우리 자동차를 구입하는 사람들을 어떻게 분석하면 좋을까요?" ..예? ....가이드 같은건 안주시나요..? 는 저의 반응이었습니다. 아마 방금 여러분의 반응도 비슷했을겁니다. 결과적으로는 저는 한달 동안 머리 싸매가며 어떻게든 결과물을 만들었고 나름 성과를 인정받았습니다. 이 때 했던 자세한 분석은 다른 글에서 정리해보도록 하고, 오늘은 어떤 사고 프로세스를 통해 문제를 풀었는지 얘기하고 싶습니다. 1. 일단은 도메인 지식부터 쌓읍..

MZ세대 그리고 금융 서비스

여러분은 혹시 은행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것들이 먼저 떠오르시나요? 모든 은행은 차이가 없다? 혹은 은행의 조언은 무의미 하다? 아니면 핀테크 스타트업이 은행을 잠식하기를 기대하고 있지는 않으신가요? 그렇다면 당신은 MZ 세대일지도 모릅니다. 해당 내용은 최근 출간된 화제의 책인 김강원님이 쓰신 '카카오와 네이버는 어떻게 은행이 되었나'라는 책의 165페이지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미국의 타임즈의 조사에 따르면 요즘 경제/사회/문화 너나 할것 없이 관심을 갖는 신인류인 밀레니얼과 Z세대는 신용 카드가 없거나 (71%), IT 기업의 금융서비스를 더 선호 하고 (75%) 심지어 이들의 대다수는 은행을 방문해 본 경험조차 없다고 합니다. 만약에 위의 내용에 공감하시지 못 한다면 당신은 아마도 X세대 혹은 베..

트렌드를 읽자 2021.02.15